안녕하세요. 기획자 소소한G 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프랜차이즈 시스템 첫번째 이야기를 시작했는데요.
오늘은 그에 이어서 두번째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첫번째 이야기는 아래 링크에서 참고하세용
https://hjp-recipe.tistory.com/53
프랜차이즈 시스템 1
안녕하세요. 약 1년 6개월의 솔루션 웹기획, 그리고 이제 막 서비스 기획 4개월차 아기 기획자 소소한G 입니다. 기획자로서 두번째 회사인 현재 회사는 프랜차이즈 본사로 저는 이직한 지 4개월차
hjp-recipe.tistory.com
프랜차이즈의 종류에 대해서 첫번째 이야기보다 좀 더 상세하게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기본적으로 세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보려합니다. 유형에 따른 프랜차이즈의 종류를 알아볼까요?
★프랜차이즈의 유형
운영주체별 유형
- 제조 주도형 프랜차이즈: 자동차 대리점, 주유소, 가전대리점 등 제조업자가 주도하는 프랜차이즈
- 도매주도형 프랜차이즈: 음료, 화장품, 양주, 패션의류 등 도매업자가 주도하는 프랜차이즈
- 소매주도형 프랜차이즈: 편의점, 슈퍼마켓 등 소매업자가 주도하는 프랜차이즈
- 서비스 주도형 프랜차이즈: 호텔, 학원, 부동산 등 서비스 업자가 주도하는 프랜차이즈
제공형태별 유형
- 시스템 형 프랜차이즈 (System 프랜차이즈)
본사(Franshisor)가 외식 등 특정 사업을 위해 독자적인 시스템을 개발하여 가맹점(Franchisee)에게 특허권, 노하우, 영업비밀등을 전수하는 방식의 형태입니다.
대표적으로 패스트푸드점이 해당됩니다. - 제품 프랜차이즈 (Product 프랜차이즈)
제조업자가 가맹본부(Franshisor)가 되고 가맹점(Franchisee)은 도/소매 활동을 하는 체인 형태로
대표적으로 자동차 대리점이 이에 해당됩니다. - 제조 프랜차이즈 (Process 프랜차이즈)
가맹본부(Franshisor)가 가맹점(Franchisee)에게 제품 제조 등 특허권이나 노하우, 영업비밀 등을 전수하는 방식으로 소프트 드링크가 해당됩니다.
★ 여기서 잠깐,
대리점과 프랜차이즈는 엄연히 다른 개념이랍니다.
대리점과 프랜차이즈의 차이점을 알아볼까요?
1. 대리점 본부에서는 판매를 위한 방법을 가르칩니다.
2. 대리점의 경우 영업 방식, 마케팅 방식에 다른 매출의 명확한 수치, 근거가 없습니다.
3. 대리점은 가맹즘이 없고 로열티도 징수하지 않지만 영업의 권리금을 징수합니다.
4. 대리점주에게 인재를 활용한 영업력을 기대합니다.
목적별 유형
- 턴키형 프랜차이즈
가맹본부가 점포나 사업소를 준비해두고 가맹점은 열쇠만 수령하면 개업이 가능한 프랜차이즈로 미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형입니다.
국내에서는 편의점에서만 이 유형을 적용하고 있어요. - 전환형 프랜차이즈(conversence)
가맹 대상자가 한정된 유형으로 경영 활성화나 브랜드 통일에 따른 영업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동업자를 가맹화하는 시스템입니다.
국내 사례는 부동산 체인, 주류 판매점에서 적용하고 있어요.
기존 사업을 브랜드화 하는 것이죠.
지역 권한 범위별 유형
(규모별 유형이라고 분류하기도 합니다.)
- 단일지역 프랜차이즈 (로컬 체인)
일정 기간, 일정 지역 내에서 어떤 개인이 하나의 점포에만 가맹영업을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서초구에 15개의 가맹점이 입점할 예정인데 이를 한 개인에게 한번에 파는 것이죠.
이를 확장하게 되면 Area FC가 됩니다. - 복수 지역 프랜차이즈 (Area FC_리저널 체인)
- 지역개발 프랜차이즈 : 일정기간, 지역내에서 어떤 개인에게 여러개의 점포 영업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사례는 서브웨이가 적용하고 있어요. 가맹점주가 프랜차이즈 본사와 지역 개발 계약을 체결, 개발 수수료를 지급한 뒤 일정 지역의 지역권을 매입합니다.
- 지역 분할 프랜차이즈 : 일정 지역 내에서 개인에게 본사의 권리를 부여하고
권리를 부여받은 분할지역 프랜차이즈 본사가 다시 최종 가맹점에게 가맹점을 경영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 메가 프랜차이즈 : A 가맹점을 운영하고 있는 가맹점주가 동일지역 또는 다른 지역에 동일 브랜드의 감애점이나 타 브랜드의 가맹점을 여러 개 운영하는 형태입니다.
본부 형태별 유형
- 상품 라이센스형 프랜차이즈 (Product Trademark 프랜차이즈)
Franchisor가 제품의 공급과 동시에 상표, 표창 등의 사용을 허락하는 방식입니다. (전자 대리점 등) - 비즈니스 포맷평 프랜차이즈 (Business Format 프랜차이즈)
Franchisor가 Franchisee에게 단순히 상품, 상표 제공뿐만 아니라 자체 개발한 '비즈니스 패키지'를 전수하는 근대적 프랜차이즈입니다. (시스템형 프랜차이즈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단일지역 프랜차이즈 > 복수지역 프랜차이즈 > 지역분할 프랜차이즈 로 확대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제 프랜차이즈가 무엇인지 대충이라도 감이 오셨나요?
그럼 팁!으로 프랜차이즈를 시작하려고 하는 분들께 몇가지 확인사항을 알려드릴게요.
★프랜차이즈를 시작하기 전 확인해야할 점
1. 판매할 품목이 간단한 내용인가요?
2. 매출을 늘리는 방법이 명확하고 단기간에 만들어지는 것인가요?
3. 교육 체계가 가지런히 되어 있나요?
가맹점주들에게 전수할 노하우 등을 전수하려면 제대로 된 프로그램이 짜여져 있어야겠죠?
4. 담당자에게 시간적인 여유가 있나요?
본부가 가지고 있는 노하우를 정확히 전수할 본사 담당자의 시간적인 여유는 당연하기도 하고 기본적으로 생각해보아야 할 거에요.
5. 공존 공영이라고 하는 사고를 가지고 있나요?
프랜차이즈 개념의 가장 잘못된 생각이 본사는 갑, 가맹점은 을 이라고 생각하는 거에요. 첫번째 포스팅에서 언급하기도 했지만 본사와 가맹점의 관계는 부부의 관계처럼 동등한 관계라는 것을 잊지마세요.
6. 간단하게 관두지 않는 끈기가 있고 강한 의지가 있는가?
너무 도덕적인 이야기를 하나요? 하지만 이는 모든 사업을 시작하는 분들의 기본적인 소양이에요. 그렇지만 가맹점은 본사를 믿고 사업을 시작하기 때문에 본사의 이러한 의지는 가장 중요하답니다.
프랜차이즈 시작을 앞두고 계신다면
간단하고 가장 기본적이지만 지키기 어려운 6가지를 꼭 가지고 시작하세요!

'소소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랜차이즈와 대리점의 차이 (0) | 2021.07.26 |
---|---|
프랜차이즈의 유형 및 특징 (0) | 2021.07.26 |
프랜차이즈 시스템 1 (0) | 2021.06.28 |
프론트엔드 개발자란 (0) | 2019.10.04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는 왜 탄생했을까? (0) | 2019.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