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획자 소소한G 입니다.
기획자로서 두번째 회사인 현재 회사는 프랜차이즈 본사이기 동시에 프랜차이즈 통합 시스템을 최초로 만든 회사이기도 해요. 그래서 입사 이후로 프랜차이즈 시스템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프랜차이즈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을 차근차근 공부하고 있답니다.
공부하고 있는 내용들을 기록하고 공유하고 싶기도 하고, 공부한 내용을 완전히 저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오랜기간 쉬었던 블로그 글을 다시 쓰게 되었습니다.
소소한 이야기는 이쯤에서 마치도록 하고,
제가 공부한 프랜차이즈 시스템에 대한 첫번째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이해
프랜차이즈는 분포 영역에 따라
단일지역 프랜차이즈 > AREA 프랜차이즈 > 마스터 프랜차이즈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격에 따라서는 1. 레귤러 체인, 2. Voluntary체인, 3. 시스템 체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Regular 체인
레귤러체인은 우리가 그동안 알아왔던 오래전의 맥도날드, 스타벅스와 같은 직영 체인을 의미합니다.
(맥도날드는 현재 우리나라의 특성 때문에 오래전에는 직영점만 운영했지만 현재는 가맹점도 많습니다.)
2. Voluntary 체인
Vountary 체인은 한샘 또는 타이어 회사와 같은 대리점 계약의 체인을 의미합니다.
같은 업종의 상점이 여러개 모여서 독립성을 유지하며 공동 사입, 공동 선전하여 상점을 이루는 체인입니다.
3. System 체인
일반적인 프랜차이즈 체인점을 이야기하면 부부관계처럼 동등한 관계를 가집니다.
*일반적으로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의 관계는 갑과 을의 관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올바르고 건강한 프랜차이즈는 부부관계과 같은 동등한 관계를 원칙으로 합니다.
★프랜차이즈(FC)의 5대 기본요소
프랜차이즈는 양 당사자간이 계약을 맺고 상호간에 노하우를 주고 받습니다.
1. 본부와 가맹점사이의 계약관계로 파악
2. 본사가 가맹점에 대해 노하우를 제공하고 지도/지원
3. 가맹점이 본사의 통제를 받는다
4. 가맹점이 본사에게 일정한 대가를 지불
5. 양 당사자는 독립된 사업자이고 가맹점의 사업은 자기자본을 투자하여 전개
★가맹 본부의 장/단점, 가맹점의 장/단점
[가맹본부의 장점]
1. 소규모 중앙조직만으로 큰 위험부담없이 이윤 획득이 가능합니다.
→ 전제조건: 도미넌트 (일정 영역에서 사업을 했을 경우를 이야기합니다.)
→ 출점전략과 맞물림
2. 가맹점주 자금으로 가맹점이 개설되는 경우 직영 프랜차이즈와 같이 거대 자금 투입이 소규모 자본의 투자, 경영의 민주성을 유지하면서 전국적으로 효율적인 유통망 구축가능
→ 전제조건: 단계적으로 발전해나감
3. 지역사정에 밝은 가맹점주 관리로 효율적이고 안정된 프랜차이즈를 경영할 수 있습니다.
[가맹본부의 단점]
1. 가맹점주 자율성 증대로 본부 힘이 약할 수 있습니다.
→ 경영지도, 마케팅, 신제품개발능력이 기본이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2. 통일된 시책입안 실시로 특정 가맹점 실정에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상권 등에 대해 가격, 용량이 변할 수 있습니다.
→ 초기 가맹본부의 가장 큰 실수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3. 직영점보다 이익이 적을 수 있다.
→ 미국 일본은 직영이 이익이 더 클수있다. 권리금과 보증금이 없기 떄문이죠.
→ 한국에는 맞지 않은 단점: 한국은 직영으로 수익을 내기 힘든구조이기 때문입니다.
4.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초기에 형성할 때 가맹계약 해지 시의 계약내용이 정확해야 합니다.
[가맹점의 장점]
1. 지식과 노하우를 전수받아 실패율이 낮습니다.
2. 가맹본부 자산인 유명상호,상표,서비스표등의 영업권 사용으로 고객 이미지 상승됩니다.
3. 입지선정, 상품개발,구성,물류시스템제품공급,교육,영업지도 등 도움을 받아 이익 창출할 수 있습니다.
4. 가맹본부의 광고,홍보,판촉행사 캠페인의 이익을 누립니다.
5. 유경험의 경영지도 등으로 사업 실패율이 적습니다.
→ 프랜차이즈 본부는 반드시 경영지도능력을 보유해야 합니다.
→ 꾸준히 이익이 늘어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는 능력보유필요합니다.
6. 일정 기간 경과 후 사업능숙 시 다점포 경영 및 지역권한을 받아 프랜차이즈 사업을 할 수 있습니다.
→ 복수가맹점(mega FC)를 의미하죠.
→ 일본의 경우 30개 프랜차이즈 가맹점 운영 시 프랜차이즈 본사로 인정합니다.
[가맹점의 단점]
1. 비체인 가맹본부보다 시장변화 대처능력이 뒤쳐질 수 있습니다.
2. 사업경험 부족으로 인한 투자비용이 비체인 가맹본부보다 높습니다.
→ 이 경우 기회비용(기간, 노동강도, 성공률)을 생각 한다면 가맹점으로서의 장점을 살리 수 있겠죠?
3. 본부의 통제가 있습니다.
→ 올바르고 건강한 프랜차이즈 시스템은 합리적인 통제이며 성공하는 프랜차이즈 가맹 본부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4. 가맹점의 노력과 무관하게 가맹본부의 영업실적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렇게 가맹본부 입장에서의 장/단점, 가맹점 입장에서의 장/단점을 알아보았는데요.
공존하고 공영하는 가맹본부, 가맹점의 사고가 프랜차이즈 성공전략의 가장 큰 핵심이랍니다.

'소소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랜차이즈와 대리점의 차이 (0) | 2021.07.26 |
---|---|
프랜차이즈의 유형 및 특징 (0) | 2021.07.26 |
프랜차이즈 시스템 2 (0) | 2021.06.29 |
프론트엔드 개발자란 (0) | 2019.10.04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는 왜 탄생했을까? (0) | 2019.10.02 |